홈플러스의 매각이 비밀스럽게 진행되는 가운데, 홈플러스 사측이 노동조합 간부를 표적 징계하여 노동조합 활동을 위축시키려는 ‘노동조합 흔들기’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홈플러스는 조합원들의 카톡방에서 오간 사적 대화를 빌미로 노동조합 핵심 간부에 대한 징계위원회 개최한다고 통보했으며, 노동조합은 이를 표적 탄압이자 무리한 징계 시도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에 홈플러스 노동조합은 7월 7일 오전 11시 홈플러스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홈플러스가 비밀매각을 중단하고 표적탄압, 징계시도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홈플러스 사측은 지난 1월 영통지부 CS조합원 방에서 있었던 대화 내용을 빌미삼아 최형선 경기본부장에 대한 징계위원회를 열겠다고 노동조합에 통보해 왔습니다. 1월에 있었던 사적인 대화 내용을 제보를 통해 접수했다는 홈플러스는 반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야 징계 여부를 따지겠다는 것입니다.
애초에 다른 점포에서는 사라진 계산 착오 사유서를 수원 영통점 관리자들이 CS직원들에게 강요한 것이 사건의 발단이 되었습니다. 다른 점포에서는 사라진 이른바 ‘계착 사유서 강요]에 대해 최형선 경기본부장에게 조합원의 문의가 있었고, 이 상황에 분노한 최형선 본부장은 짤막하게 ‘계산 착오가 그렇게 문제라면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게 스캔 속도를 낮추자’는 취지의 톡을 남겼습니다. 하지만 사적 대화의 한 자락이었을 뿐 누구도 그 발언의 실행에 대해서 고민하지도 않고 시간이 흘러 아무도 기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런데 돌연 수 개 월이 지난 4월 감사팀에서 위 내용에 대한 카톡 내용을 제보 받았다면서 태업 지시로 징계를 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습니다. 그러나 영통점 CS직원들은 위 내용의 카톡을 기억도 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흐지부지 끝나는 듯 싶었습니다. 오히려 조합원들은 회사측이 개인정보 침해를 하고 카톡방을 사찰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으며, 노동조합은 이후 회사측에 노사 공동 진상조사를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회사측은 제보를 받았다는 답변 뿐 공동 조사 요구는 거부했습니다.
이후 3개월여가 지난 지금에 와서야, 홈플러스의 비밀 매각 추진으로 노동조합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상호 민감한 시기에 회사는 징계위원회를 개최한다고 통보해 온 것입니다.
위 내용을 접한 기자들조차 회사가 왜 1월에 있었던 일을 이제 와서 끄집어 내느냐, 징계 위원회 소집 시점에 의도가 있어 보인다, 매각 국면에서 충분히 의혹을 살 만하다는 이야기들을 할 정도입니다. 직원들에게 매각 입장을 밝히는 것보다 노동조합 흔들기가 우선인가 의문을 던질만한 상황인 것입니다.
홈플러스는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이러한 표적 탄압과 징계시도로 노동조합의 활동을 위축시킬 수는 없습니다. 누가보더라도 6개월 전에 사적인 공간에 올린 문자를 빌미로 징계위원회를 소집한다는 것은 누가 보아도 무리한 징계시도이며, 이는 노동조합의 활동을 위축시키려는 의도가 뻔한 수작입니다.
홈플러스의 이러한 징계시도는 민주노총을 비롯한 노동단체, 시민사회단체, 심지어 소비자단체에까지 분노를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홈플러스는 최형선 경기본부장에 대한 표적 징계를 중단하고 매각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홈플러스 경영진의 최소한의 의무일 것입니다.
최형선 경기본부장에 대한 표적탄압 징계시도 중단하라!
노동조합 활동 사찰의혹 해명하라!
홈플러스는 비밀매각 중단하고 매각절차 공개하라!
비밀매각 노조탄압, 홈플러스 규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