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9.4]
홈플러스, 추석 ‘대목’ 앞두고 잇단 악재 ‘곤혹’
서울=뉴시스】박상권 기자 = 홈플러스가 추석 ‘대목’ 앞두고 잇단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
4일 개인정보범죄 정부합동수사단(단장 이정수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2부장)은 경품행사 당첨자 조작 의혹과 관련해 홈플러스 본사를 압수수색 했다.
검찰은 이날 오후 서울 역삼동 홈플러스 본사에 수사팀을 보내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내부 서류 등을 확보중이다.
앞서 홈플러스는 지난 7월 경품 행사를 담당하는 보험서비스팀 직원 두 명이 2012년 고가 수입자동차를 경품으로 내건 행사를 조작한 것으로 밝혀져 문제가 됐다.
홈플러스는 경품 행사를 통해 실제로는 ‘고객정보 장사’를 했다는 지적도 있다. 대부분의 고객들은 홈플러스에서 진행된 이 행사를 사은행사로 인식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보험업체 등과 함께 진행한 것으로 개인정보를 수집에 목적이 있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추석 선물 세트와 관련, 작은 잡음도 일었다. 고객이 주문한 상품과 다른 물건이 배송됐다. 교환을 요구하는 고객에게 해당 상품이 품절됐다는 무책임한 답변만 늘어놓다가 된서리를 맞았다.
이에 따른 불매운동도 이어졌다. 민주노총은 지난달 25일 홈플러스 불매운동을 선언했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기자회견을 통해 “고객에겐 경품 사기를 저지르고 직원에겐 저임금을 강요하고 있다”며 “홈플러스가 진심으로 반성하고 윤리경영과 상생경영을 실천하면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정당한 요구에 적절한 조처를 할 때까지 소비자들은 홈플러스를 이용하지 말아 달라”고 밝혔다.
순천 YMCA 등 지역 시민단체도 ‘나쁜기업 홈플러스 불매운동’에 힘을 싣고 있다.
진전 없는 노사갈등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설립된 홈플러스 노조는 처음으로 진행된 임금협상에서 생활임금 보장을 요구했다. ‘10년을 일해도 월급은 100만원이 안 된다’는 것이 핵심 구호.
또 올 초 폐지에 합의했던 ‘점오계약제’도 다시 쟁점으로 떠오를 태세다. ‘점오계약제’는 1시간 단위가 아닌 30분, 10분 등의 단위로 근로계약을 맺은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 노조는 실제 근무시간보다 적은 임금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반발했고, 홈플러스 노사는 9월 1일부터 단계적으로 폐지하기로 했다.
그러나 ‘점오계약제’ 폐지 약속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홈플러스가 비정규직 직원들의 근로시간을 조정하면서 수습계약직 등의 근로시간을 줄이겠다는 방안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이는 ‘점오계약제’를 비정규직에서 수습계약직으로 옮겨가는 수준에 불과했고, 노조는 이 같은 방안에 반발했다.
결국 홈플러스 노조는 지난 7월 1차 경고파업에 이어 추석을 일주일 앞둔 지난달 29~31일 총파업에 나섰다. 하지만 노사교섭은 여전히 진전이 없었고, 홈플러스 노조는 4일 기자회견을 통해 추석기간인 5~10일 총파업을 진행하겠다고 선언했다.
kwon@newsis.com
기사원문보기 => http://goo.gl/qccj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