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신문 7.30]
홈플러스 소비자우롱 행위 ‘이정도 일줄이야’
경품사기·골목상권 침해·납품단가 후려치기 논란…도 사장 변칙경영 ‘불매운동’ 부를 듯
[중소기업신문=박동완 기자] 골목상권‧납품업체와의 상생을 외면해 최하위의 동반성장 등급을 받았던 홈플러스가 이번에는 고객을 상대로 ‘경품사기’를 벌였다는 의혹에 휘말리면서 도성환 홈플러스 사장의 ‘변칙경영’이 도마에 올랐다.
특히, 국내 3대 대형마트라는 명성에 전혀 걸맞지 않은 이번 사건으로 일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불매운동 조짐이 일고 있어 도 사장의 소비자를 우롱하는 ‘나홀로 성장’정책이 역풍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고가의 경품행사를 통해 고객정보를 모은 뒤 고객들에게 경품은 주지 않고 고객 데이터베이스(DB)만 팔아넘긴 것으로 드러났다.
홈플러스는 과거 1등 경품으로 7800만원 상당의 2캐럿짜리 클래식 솔리테르 다이아몬드 링, 고급 수입 외제차 등을 지급하는 경품행사를 진행했지만, 당첨자에게 경품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았다. 이를 뒤늦게 알게 된 당첨자들은 “홈플러스로 부터 당첨에 관한 어떠한 연락도 받은 적이 없다”며 분개하고 있다.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1등 당첨자만 공지했던 홈플러스 측은 “당첨자가 전화를 받지 않았다”고 해명했지만 1, 2등 당첨자와의 통화 기록은 누락시켜 의혹을 키웠다. 특히, 경품행사 당첨자 중에는 홈플러스 직원들이나 친구 등 지인들이 당첨되는 경우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으며, 홈플러스가 경품행사 응모로 모아진 고객정보를 보험회사나 카드사에 팔아 DB 장사도 해왔다는 사실도 드러나 충격을 줬다.
파장이 커지면서 홈플러스는 뒤늦게 수습에 나서도 있다. 홈플러스는 지난 29일 이번 사태와 관련된 공식 사과문이 담긴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연락을 제대로 하지 못해 경품이 지급되지 않은 사례가 발생한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하지만 홈플러스의 해명은 또다른 논란을 낳고있다. 홈플러스측은 “최근 개인정보 유출사태 이후 문자사기, 보이스피싱 등에 대한 염려로 당첨 고지에 대한 응답률이 낮아지면서 일부 경품이 지급되지 못했다”며 자신들이 최선을 다했다고 강조하고 있다. 과연 경품행사에 당첨된 고객들이 보이스피싱 등을 우려해 응답을 하지 않았을 지 쉽게 이해가 가지 않는 대목이다.
현재 홈플러스측은 2011년 이후 진행한 행사에서 경품을 받지 못한 당첨자들을 다시 접촉해 경품을 전달하고 있으며, 경품 추첨을 조작한 보험서비스팀 직원 2명을 경찰에 형사고발했다. 홈플러스측은 “보다 자세한 경위를 파악 중이며, 경찰에 고소장을 접수했다”며 “아울러 사건 재발 방지를 위한 내부 모니터링 체계 강화 및 시스템 개선 방안 수립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홈플러스는 그동안 거칠 것 없는 신규출점으로 골목상권 침해 논란의 중심에 서왔다. 도 사장은 취임 후 상생을 강조하면서도 경산점과 오산점, 인천청라점, 남현점, 상봉점 등 신규 출점을 강행하면서 다른 대형마트에 비해 공격적이라는 지적을 받고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홈플러스는 지난해 말 한 납품업체에 판매마진을 1.5% 올리겠다는 내용의 이메일을 일방적으로 보낸 것으로 알려져 납품업체의 허리를 휘게하는 ‘갑질’이 여전하다는 질타를 받기도 했다. 또, 노조와의 갈등 속에서 하루 0.5시간 단위로 근로계약이 이뤄지는 일명 ‘점오계약’이 집중 조명되기도 했다.
이처럼 정도경영을 비켜나간 도 사장의 경영행보는 동반성장 지수 3년연속 최하위 등급이라는 불명예로 돌아왔다. 지난 6월 동반성장위원회가 발표한 2013년 동반성장지수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최하위 ‘보통’ 등급을 받았다. 이로써 홈플러스는 2011~2013년 3년 연속 최하위라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이런 상황에서 경품사기사건 의혹까지 번지면서 도 사장의 경영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도 사장의 소상공인을 죽이고 소비자를 우롱하는 행위는 급기야 불매운동까지 부를 조짐이다. 일부 소비자들이 불매운동을 통해 홈플러스의 ‘변칙경영’에 대한 직접적인 반격에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런 홈플러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분노는 SNS 등에서 쉽게 확인된다. 틈만 나면 동반성장을 약속하면서도 번번이 반대의 행보를 보여온 도 사장의 ‘변칙경영’이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기사원문보기 => http://www.sm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