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유성점 폐점 수순…MBK의 청산 경영에 반발 확산

작성자
admin
작성일
2025-08-21 10:08
조회
410
홈플러스 유성점 폐점 수순…MBK의 청산 경영에 반발 확산

 

마트노조 “MBK는 회생 아닌 청산 시도…대전시는 개발업자 아닌 노동자 생존권 우선해야”

“회생법원은 유성점 매각 승인 중단해야”





2025년 8월 21일, 홈플러스 유성점 재개발 논의가 확산되면서 노동계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홈플러스가 최근 15개 점포의 폐점을 발표한 지 채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또 하나의 핵심 점포가 문을 닫을 위기에 처했다.

대전시는 최근 유성홈플러스 부지를 지하 3층, 지상 49층 규모의 주상복합 단지로 전환하는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을 ‘조건부 수용’하는 방향으로 논의 중이다. 사실상 점포 폐점과 부동산 개발을 전제로 한 행정 절차가 진행되는 셈이며, 이는 지역 고용과 상권에 치명적인 공백을 초래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전시는 이번 계획을 ‘주민 제안 수용’이라 발표했지만, 실상은 홈플러스와 아무런 관련 없는 부동산 개발업자의 제안을 토대로 한 결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노조는 부동산개발업자와 사모펀드 MBK와의 연관성도 확인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유성점 재개발을 위한 폐점은 홈플러스 노동자들을 생존권의 벼랑 끝에 내몰리고 있으며, 상인들과 지역 주민들 역시 막대한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는 이번 유성점 폐점을 단순한 점포 축소가 아닌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의 청산 경영 시도로 규정하고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노조에 따르면 유성점은 대전의 핵심 상권이자 전국 매출 상위권을 기록하던 알짜 점포다. 특히 2022년 메가푸드마켓으로 리뉴얼하며 연면적과 실적 모두 전국 최상위권을 자랑했음에도 폐점 대상에 포함됐다.

홈플러스지부는 “이처럼 잘 되는 점포까지 닫겠다는 것은 적자 점포라서 폐점하는 것이 아니라, 잘 되어도 부동산 개발을 위해 닫는 청산형 경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사측은 회생절차와 임대료 협상 실패를 이유로 들지만, 이는 기업가치를 스스로 훼손하며 회생 가능성을 더욱 낮추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한 이후 대전 지역 홈플러스 점포는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2021년 탄방·둔산점, 2022년 동대전점, 2024년 서대전점이 차례로 문을 닫았고, 최근 문화점도 폐점 수순에 들어갔다. 유성점까지 폐점된다면 대전에는 가오점 단 한 곳만 남게 되며, 이는 사실상 지역 철수에 해당한다는 분석이다.

노조는 또한 MBK가 전국적으로도 유사한 폐점 수순을 밟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구, 부산, 울산, 광주 등 주요 대도시에서 점포가 연이어 사라지고 있으며, 이는 홈플러스의 유통망 자체를 해체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노조는 “20여 개 폐점 점포 중 단 한 곳도 재입점하지 않았다”며, 사측의 ‘재입점 가능성’ 주장은 설득력을 잃었다고 비판했다.

이에 따라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는 ▲대전시는 개발업자 제안이 아닌 지역사회와 노동자의 생존권을 우선할 것 ▲서울회생법원은 유성점 매각을 절대 승인하지 말 것 ▲정부는 MBK의 청산형 경영을 중단시킬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노조는 용산 대통령실 앞 무기한 노숙농성에 돌입했으며, 서울회생법원과 검찰청 방문을 통한 유성점 매각 중단과 MBK 김병주 회장에 대한 수사 촉구 활동도 전개할 예정이다. 또한 오는 9월 13일, 전국 동시다발 총궐기 대회를 예고하며 전국 단위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마트노조는 “지역경제와 유통 생태계를 지키기 위한 싸움은 이제 전국의 문제”라며 “회생을 가장한 청산 경영에 맞서 홈플러스 노동자와 지역사회의 미래를 지키겠다”고 밝혔다.

 

[입장문]

홈플러스 유성점 폐점은 MBK의 홈플러스 청산 시도다!

회생법원은 유성점 매각을 절대 승인하지 말라!

 

홈플러스가 15개 점포 폐점을 발표한 지 불과 며칠 만에, 대전 유성점마저 폐점 수순에 오르고 있다. 대전시는 유성홈플러스 부지를 지하 3층·지상 49층 주상복합으로 전환하는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조건부 수용’하는 방향으로 논의했다. 그러나 이 과정 어디에도 “홈플러스 재입점” 확약은 없다. 이는 곧 점포 폐점 → 부동산 개발을 전제로 행정 절차가 진행되고 있음을 뜻하며, 지역 고용과 상권에 심각한 공백을 예고하는 조치다.

특히 대전시는 이번 논의를 ‘주민제안 수용’이라고 발표했지만, 실제로는 부동산 개발업자의 제안을 수용한 것에 불과하다. 홈플러스와 아무 연관도 없는 부동산 개발업자의 신청에 따라 점포가 폐점 위기에 몰리고, 그 결과 홈플러스 노동자들의 생존권이 송두리째 무너지고 있다. 

회사는 확정된 것이 없겠다고 주장하겠지만 회사의 동의없이 부동산 개발업자가 신청한 것도 의문이다. 관계기관은 부동산 개발업자가와 사모펀드 MBK와의 관계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  

MBK가 인수한 이후 대전의 홈플러스는 급속히 무너졌다. 2021년 탄방·둔산점, 2022년 동대전점, 2024년 서대전점이 사라졌고, 최근 문화점마저 폐점 수순에 들어갔다. 이제 유성점까지 문을 닫는다면 가오점 1곳만 남아 사실상 대전 철수에 해당한다.

유성점은 대전의 핵심 거점이자 전국 상위권 매출을 기록하는 대표 점포다. 2022년 메가푸드마켓으로 리뉴얼하며 전국 3위권의 넓은 연면적과 매출을 자랑했던 곳이다. 이처럼 잘 되는 점포마저 닫겠다는 것은 “적자라서 닫고, 잘 되어도 닫는” 청산형 경영일 뿐이다.

사측은 회생절차를 핑계로 ‘긴급 생존경영’을 선언하며 임대료 협상 실패를 폐점 명분으로 내세운다. 그러나 이는 기업의 회생을 돕는 조치가 아니라, 오히려 거래선 신뢰와 기업가치를 무너뜨려 회생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든다. 사측은 “향후 재입점 가능성”을 말하지만, MBK 인수 이후 폐점된 20여 점포 중 단 한 곳도 재입점하지 않았다. 

이미 홈플러스는 대전뿐 아니라 대구, 부산, 울산, 광주 등 주요 대도시에서 점포를 잇따라 폐쇄하며 전국 유통망을 스스로 해체하고 있다. 이는 한국 대표 유통기업으로서의 가치를 내던지는 행위이며, 결국 홈플러스를 해체하고 투기자본 MBK의 먹튀를 위한 수순이다.

따라서 우리는 요구한다.
  • 대전시는 부동산 개발업자의 제안이 아닌 지역사회와 노동자의 생존권을 먼저 지켜야 한다.
  • 회생법원은 유성점 매각을 결코 승인해서는 안 된다.
  • 정부는 지역사회와 노동자의 삶을 파괴하는 MBK의 행위를 즉각 중단시켜야 한다.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는 용산 대통령실 앞 무기한 노숙농성을 시작으로, 현장 집회와 선전전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국회와 함께 서울회생법원과 검찰청을 방문하고 유성점 매각승인을 중단과, MBK와 김병주회장의 수사를 촉구할 이다. 오는 9월 13일에는 전국 동시다발 총궐기 대회를 통해 MBK의 청산 경영을 저지하고, 홈플러스와 지역경제를 지켜낼 것이다.

 

2025년 8월 21일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
전체 1,34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340
New 홈플러스 유성점 폐점 수순…MBK의 청산 경영에 반발 확산
admin | 10:08 | 추천 0 | 조회 410
admin 10:08 0 410
1339
New 홈플러스 사태 해결, 용산 대통령실 앞 무기한 노숙농성 10일차 (0920)
admin | 09:59 | 추천 0 | 조회 188
admin 09:59 0 188
1338
New 홈플러스 사태해결, 용산 대통령실 앞 무기한 노숙농성 9일차 (0819)
admin | 2025.08.20 | 추천 0 | 조회 332
admin 2025.08.20 0 332
1337
New 16번째 홈플러스 살리기 화요투쟁문화제 (with 장현호, 김성만)
admin | 2025.08.19 | 추천 0 | 조회 74
admin 2025.08.19 0 74
1336
New 홈플러스 사태 해결, 국민의힘에 “청문회 즉각 개최” 요구
admin | 2025.08.19 | 추천 0 | 조회 852
admin 2025.08.19 0 852
1335
New 홈플러스 사태해결, 용산 대통령실 앞 무기한 노숙농성 8일차 (0818)
admin | 2025.08.19 | 추천 0 | 조회 384
admin 2025.08.19 0 384
1334
New 홈플러스 사태해결, 용산 대통령실 앞 무기한 노숙농성 7일차 (0817)
admin | 2025.08.18 | 추천 0 | 조회 171
admin 2025.08.18 0 171
1333
New 홈플러스 사태해결, 용산 대통령실 앞 무기한 노숙농성 6일차 (0816)
admin | 2025.08.16 | 추천 0 | 조회 79
admin 2025.08.16 0 79
1332
New 홈플러스 사태해결, 용산 대통령실 앞 무기한 노숙농성 4일차 (0814)
admin | 2025.08.14 | 추천 0 | 조회 52
admin 2025.08.14 0 52
1331
New 국회소통관 기자회견] ‘내탓은 없고 남탓만’ MBK에 정치·노동계 강력 반발
admin | 2025.08.14 | 추천 0 | 조회 988
admin 2025.08.14 0 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