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2024년 홈플러스 재무제표 분석

작성자
admin
작성일
2024-06-01 15:57
조회
272
홈플러스 감사보고서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531002475

1. 서론
보고서는 홈플러스의 2024년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회사의 재정 상태와 경영 성과를 분석하며, 향후 전망과 제언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홈플러스 개요
홈플러스는 1997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대형마트 체인입니다. 전국에 다수의 매장을 운영하며, 고객들에게 다양한 식료품, 생활용품, 전자제품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홈플러스는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하여, 합리적인 가격과 높은 품질의 상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2024년 재무제표 분석
1) 자산

① 유동자산
유동자산은 회사가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현금, 매출채권, 재고자산 등이 포함됩니다.

● 2024년: 8,374억
● 2023년: 7,463억

② 비유동자산
비유동자산은 회사가 장기간 보유하는 자산으로, 건물, 기계, 토지, 장기투자 등이 포함됩니다.

● 2024년: 79,480억
● 2023년: 83,494억

③ 총자산
총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을 합친 것을 말한다.

● 2024년: 87,854억
● 2023년: 90,957억

2) 부채

① 유동부채
유동부채는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빚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기타 유동부채가 포함됩니다.

● 2024년: 34,961억
● 2023년: 21,991억

② 비유동부채
비유동부채는 1년 이후에 갚아야 하는 빚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장기차입금, 사채, 기타 비유동부채가 포함됩니다.

● 2024년: 50,240억
● 2023년: 60,253억

③ 총 부채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를 합친 것을 말한다.

● 2024년: 85,201억
● 2023년: 82,245억

3) 자본
자본은 회사의 순자산을 의미하며,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입니다.

● 2024년: 2,653억
● 2023년: 8,712억

4. 손익계산서 분석
1) 매출액
회사가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여 벌어들인 총 금액입니다.

● 2024년: 69,314억 원
● 2023년: 66,006억 원
2) 매출원가
상품을 생산하거나 구매하는 데 들어간 비용을 의미합니다.

● 2024년: 47,536억
● 2023년: 45,454억

3) 매출총이익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금액으로, 회사의 기본적인 이익을 나타냅니다.

● 2024년: 21,778억
● 2023년: 20,552억

4) 판매비와 관리비
회사 운영에 필요한 인건비, 광고비, 관리비 등을 포함합니다.

● 2024년: 23,773억
● 2023년: 23,154억

(1) 급여와 수당 (Salaries and Wages)
● 2024년: 642,146,008,000
● 2023년: 617,106,091,000
● 증감: 25,039,917,000 (약 4.06% 증가)
● 주요 정보: 직원의 기본 급여와 추가 수당을 포함합니다. 인력 운영에 필요한 기본 비용입니다.

(2) 상여금 (Bonuses)
2024년: 72,814,938,000
2023년: 68,716,349,000
증감: 4,098,589,000 (약 5.96% 증가)
주요 정보: 성과에 따른 보너스 지급액입니다. 직원 동기 부여와 관련이 있습니다.

(3) 퇴직급여 (Retirement Benefits)
2024년: 53,880,511,000
2023년: 55,280,041,000
증감: -1,399,530,000 (약 2.53% 감소)
주요 정보: 퇴직하는 직원에게 지급되는 급여입니다.

(4) 잡급 (Miscellaneous Wages)
2024년: 2,976,798,000
2023년: 3,690,723,000
증감: -713,925,000 (약 19.35% 감소)
주요 정보: 임시직, 파트타임 직원의 급여를 포함합니다.

(5) 복리후생비 (Employee Welfare Expenses)
2024년: 77,921,170,000
2023년: 71,237,073,000
증감: 6,684,097,000 (약 9.38% 증가)
주요 정보: 직원 복지 혜택, 건강보험, 연금 등 다양한 복리후생 비용을 포함합니다.

(6) 감가상각비 (Depreciation)
2024년: 456,533,872,000
2023년: 464,571,218,000
증감: -8,037,346,000 (약 1.73% 감소)
주요 정보: 유형 자산의 가치 감소를 반영한 비용입니다. 주로 건물, 장비, 기계 등에서 발생합니다.

(7) 무형자산상각비 (Amortization of Intangible Assets)
2024년: 14,098,747,000
2023년: 15,276,416,000
증감: -1,177,669,000 (약 7.71% 감소)
주요 정보: 무형 자산(예: 특허, 상표권)의 가치 감소를 반영한 비용입니다.

(8) 세금과공과 (Taxes and Dues)
2024년: 112,801,247,000
2023년: 111,221,204,000
증감: 1,580,043,000 (약 1.42% 증가)
주요 정보: 각종 세금과 공과금 납부액입니다.

(9) 지급임차료 (Rental Fees)
2024년: 48,973,179,000
2023년: 53,452,817,000
증감: -4,479,638,000 (약 8.38% 감소)
주요 정보: 매장, 사무실 등의 임대료입니다.

(10) 수선비 (Repair Expenses)
2024년: 31,536,522,000
2023년: 27,403,878,000
증감: 4,132,644,000 (약 15.09% 증가)
주요 정보: 시설 및 장비의 유지 보수와 수리에 드는 비용입니다.

(11) 지급수수료 (Commission Fees)
2024년: 414,498,932,000
2023년: 394,194,942,000
증감: 20,303,990,000 (약 5.15% 증가)
주요 정보: 외부 서비스 이용에 따른 수수료입니다.

(12) 난방조명비 (Heating and Lighting Expenses)
2024년: 144,617,443,000
2023년: 135,512,285,000
증감: 9,105,158,000 (약 6.72% 증가)
주요 정보: 난방과 조명에 드는 에너지 비용입니다.

(13) 광고선전비 (Advertising Expenses)
2024년: 59,306,020,000
2023년: 62,774,067,000
증감: -3,468,047,000 (약 5.52% 감소)
주요 정보: 마케팅 및 홍보 활동에 소요되는 비용입니다.

(14) 포장비 (Packaging Expenses)
2024년: 15,880,684,000
2023년: 14,169,566,000
증감: 1,711,118,000 (약 12.08% 증가)
주요 정보: 제품 포장에 드는 비용입니다.

(15) 소모품비 (Consumables Expenses)
2024년: 20,586,441,000
2023년: 17,708,761,000
증감: 2,877,680,000 (약 16.25% 증가)
주요 정보: 일상 운영에 필요한 소모품 구입 비용입니다.

(16) 보험료 (Insurance Expenses)
2024년: 3,366,459,000
2023년: 4,352,927,000
증감: -986,468,000 (약 22.67% 감소)
주요 정보: 각종 보험에 가입하여 지불하는 비용입니다.

(17) 통신비 (Communication Expenses)
2024년: 3,112,255,000
2023년: 3,224,493,000
증감: -112,238,000 (약 3.48% 감소)
주요 정보: 전화, 인터넷 등 통신 서비스 이용 비용입니다.

(18) 여비교통비 (Travel and Transportation Expenses)
2024년: 9,658,746,000
2023년: 10,450,876,000
증감: -792,130,000 (약 7.58% 감소)
주요 정보: 출장 및 교통비용입니다.

(19) 접대비 (Entertainment Expenses)
2024년: 378,176,000
2023년: 363,680,000
증감: 14,496,000 (약 3.99% 증가)
주요 정보: 비즈니스 접대 및 손님 접대 비용입니다.

(20) 대손상각비 (Bad Debt Expenses)
2024년: 83,344,000
2023년: 395,005,000
증감: -311,661,000 (약 78.93% 감소)
주요 정보: 회수 불가능한 채권에 대한 비용입니다.

(21) 교육훈련비 (Training and Education Expenses)
2024년: 1,660,058,000
2023년: 1,436,494,000
증감: 223,564,000 (약 15.57% 증가)
주요 정보: 직원 교육 및 훈련 비용입니다.

(22) 운반비 (Freight and Transportation Expenses)
2024년: 180,829,743,000
2023년: 173,375,938,000
증감: 7,453,805,000 (약 4.30% 증가)
주요 정보: 제품 운송 및 배달에 드는 비용입니다.

(23) 차량유지비 (Vehicle Maintenance Expenses)
2024년: 1,259,178,000
2023년: 1,324,370,000
증감: -65,192,000 (약 4.92% 감소)
주요 정보: 회사 소유 차량의 유지 보수와 관련된 비용입니다.

(24) 기타 (Miscellaneous Expenses)
2024년: 8,396,922,000
2023년: 8,216,593,000
증감: 180,329,000 (약 2.19% 증가)
주요 정보: 위에 나열되지 않은 기타 다양한 운영 비용을 포함합니다.

(25) 총계
2024년 판매비와 관리비: 2,377,317,393,000
2023년 판매비와 관리비: 2,315,395,807,000
증감: 61,921,586,000 (약 2.68% 증가)

5) 영업손실
매출총이익에서 판매비와 관리비를 뺀 값으로, 영업활동에서의 손익을 나타냅니다.

● 2024년: -1,994억
● 2023년: -2,602억

6) 당기순손실
영업손실에 금융비용, 세금 등을 포함한 모든 비용을 반영한 값입니다.

● 2024년: -5,743억
● 2023년: -4,458억

5. 에비타(EBITDA) 분석
에비타는 이자비용, 세금, 감가상각비, 상각비를 차감하기 전의 영업이익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주로 기업의 영업 성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1) 필요한 항목:
① 영업이익 (Operating Income), 영업손실 (Operating Loss)
매출총이익에서 판매비와 관리비를 뺀 값입니다.
● 2024년: -1,994억
● 2023년: -2,602억

② 감가상각비 (Depreciation)
감가상각비는 유형 자산, 즉 물리적인 자산의 가치를 일정 기간 동안 분할하여 비용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형 자산은 건물, 기계, 차량 등과 같이 실체가 있는 자산을 말합니다.

● 2024년: 4,726억
● 2023년: 4,942억

③ 상각비 (Amortization)
상각비는 무형 자산의 가치를 일정 기간 동안 분할하여 비용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형 자산은 물리적인 형태가 없는 자산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특허권, 상표권, 저작권,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등이 무형 자산에 해당합니다.

● 2024년: 1,158억
● 2023년: 1,102억

* 상각비와 감가상각비의 차이
상각비: 무형 자산의 가치를 일정 기간 동안 분할하여 비용으로 인식
감가상각비: 유형 자산의 가치를 일정 기간 동안 분할하여 비용으로 인식

2) 에비타 계산 (EBITDA=영업이익+감가상각비+상각비)

① 2024년 에비타:
EBITDA=(−199,418,955,364)+472,598,000,000+115,786,000,000=388,965,044,636 KRW

② 2023년 에비타:
EBITDA=(−260,179,079,602)+494,155,000,000+110,239,000,000=344,214,920,398 KRW

③ 에비타 분석
2024년 에비타: 3,889억
2023년 에비타: 3,442억

3) 요약
홈플러스의 에비타는 2023년에 비해 2024년에 증가했습니다. 이는 영업 손실이 줄어들고, 감가상각비와 상각비를 고려한 현금흐름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에비타가 증가하면 회사의 실제 영업성과가 개선되었음을 나타내므로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6. 금융비용 분석
회사가 빌린 돈에 대한 이자비용 등을 포함한 비용입니다. 금융비용의 증가는 회사의 부채 증가나 이자율 상승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 2024년: 4,573억
● 2023년: 3,933억

7. 향후 전망 및 제언
홈플러스는 2024년에 매출액과 에비타가 증가하는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금융비용의 증가와 부채 관리가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
전체 1,163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163
New 투기자본 MBK의 홈플러스 먹튀매각 보고서 v1.3
admin | 2024.06.21 | 추천 0 | 조회 224
admin 2024.06.21 0 224
1162
New 진보당 김창년 노동자당 대표, 밀실분할매각저지 간담회 진행
admin | 2024.06.21 | 추천 0 | 조회 133
admin 2024.06.21 0 133
1161
익스프레스 분할매각 반대한다!!
admin | 2024.06.03 | 추천 0 | 조회 768
admin 2024.06.03 0 768
1160
2025년 임금인상을 위해 6월 22일 집결하자!!
admin | 2024.06.03 | 추천 0 | 조회 457
admin 2024.06.03 0 457
1159
2023/2024년 홈플러스 재무제표 분석
admin | 2024.06.01 | 추천 0 | 조회 272
admin 2024.06.01 0 272
1158
“창원지역 파리알 치킨”은 인력부족이 만든 인재
admin | 2024.05.16 | 추천 0 | 조회 300
admin 2024.05.16 0 300
1157
[의무휴업일 사수를 위한 간부간담회 및 현장순회-경남 5/13~14]
admin | 2024.05.14 | 추천 0 | 조회 203
admin 2024.05.14 0 203
1156
“마트노조”의무휴업 사수 총력투쟁 돌입
admin | 2024.05.10 | 추천 0 | 조회 304
admin 2024.05.10 0 304
1155
노동조합은 적대 대상이 아니다!
admin | 2024.04.19 | 추천 0 | 조회 391
admin 2024.04.19 0 391
1154
부당노동행위 / 부당해고 투쟁  승리보고
admin | 2024.04.18 | 추천 0 | 조회 722
admin 2024.04.18 0 722